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지난 1월 서울 신도림역 근처에서 육교가 주저앉았습니다. <br> <br>구청은 아쉬운대로 징검다리를 놓았는데요. <br> <br>비만 오면 아슬아슬 시민들의 불편이 이만저만이 아닙니다. <br> <br>이솔 기자가 다시 가봤습니다.<br><br>[기자]<br>철제 난간이 떨어져 나가더니 순식간에 다리가 폭삭 주저앉습니다. <br> <br>지난 1월 서울 신도림역과 도림동을 잇는 보행자용 육교 붕괴 장면입니다. <br><br>9개월이 지난 지금, 다시 찾아가봤습니다. <br><br>출근 시간대, 시민들이 줄지어 징검다리를 건넙니다. <br> <br>[정은엽 / 서울 영등포구] <br>"(어디 가시려는 거예요?) 역 가고 있죠. 신도림역으로. (여기로 출퇴근하시는 건가요?) 네, 출퇴근이요." <br> <br>높은 구두를 신어도 여행 가방을 끌어도, 징검다리를 포기할 수 없습니다. <br> <br>신도림역으로 가는 지름길이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[김규리 / 서울 영등포구] <br>"일단 넘어질까 봐 우려되는 것도 있고. 근데 어쩔 수 없이 이용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니까. 저는 출퇴근을 빨리 해야 되고." <br><br>지하철역까지 하천을 바로 건너면 2분이지만, 멀리 돌아 다리를 건너면 3배 많은 6분 넘게 걸립니다.<br> <br>징검다리가 놓인 건 지난 6월. <br> <br>육교 철거 뒤 불편하다는 민원이 쏟아지자 영등포구가 3억 5천만 원을 들여 징검다리를 놓은 겁니다. <br> <br>하지만 비라도 내리면 위험천만한 장면이 연출됩니다. <br><br>징검다리 앞엔 침수시 다리 이용을 제한하는 안내판이나 안전시설도 없어서 보시는 것처럼 누구나 가까이 접근할 수 있습니다.<br> <br>징검다리가 물에 잠기자 한참을 고민하기도 하고, <br> <br>[인근 직장인] <br>"지름길처럼 갈 수 있어서 가려고 했었던 찰나였는데 물이나 그런 걸 보고 건너면 위험하겠다는 생각이 들어서…" <br> <br>그냥 건너기도 합니다. <br> <br>[이자벨라 융 / 네덜란드 유학생] <br>"무서워요. 잡을 게 없기 때문에. 안전봉이 없잖아요. 그저 자신을 믿을 수밖에 없어요. (어땠어요? 미끄러웠나요?) 진짜 미끄러워요." <br> <br>[정재민 / 서울 영등포구] <br>"지금 물이 많이 불었잖아요. 유속이 빠르다 보니까 확실히 무서운 감이 있는 것 같고, 바라는 건 다시 다리가 지어지는 게 제일 좋은 것 같아요." <br> <br>하지만 육교가 언제 다시 설치될지 알 수 없습니다. <br> <br>기존 육교는 짓고 철거하는데 33억 원이 들었는데 이제는 건자재 값이 올라 새로 짓는 데만 50억 넘게 들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[서울 영등포구청 관계자] <br>"저희 예산으로 이게 안 될 거 같아서 서울시에다가 예산을 지금 요청해놓은 상태고요. 그쪽도 검토를 하고 있는 것 같더라고요." <br> <br>육교 부실 설계와 관리로 돈 낭비에 시민 불편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다시간다 이솔입니다. <br> <br>PD : 홍주형 <br>AD : 김승규 <br>작가 : 김예솔<br /><br /><br />이솔 기자 2sol@ichannela.com